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

바둑판의 중심은 왜 중요한가? 중앙 전략의 이해 바둑에서 귀와 변은 초보자도 익숙하게 접근하는 영역입니다. 하지만 바둑판의 중심, 즉 중앙은 많은 초급·중급자들이 그 중요성을 간과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실전에서는 중앙을 무시한 채 귀와 변의 실리만을 추구하다가 전체 흐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앙은 바둑판 전체의 균형을 결정짓는 핵심 구역이며, 한 수가 가지는 영향력이 넓게 퍼지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왜 바둑에서 중앙이 중요한지, 중앙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전략적으로 분석합니다. 중앙의 기본 개념: 단순한 공백이 아닌 전략의 무대바둑판의 중앙은 가장 넓은 영역이지만, 가장 불안정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귀나 변에 비해 돌 하나로 집을 만들기 어렵고, 실리를 확보하는 데에도 더 많은 수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 2025. 6. 22.
끝내기를 못하면 바둑에서 이길 수 없는 이유 바둑은 포석, 중반 전투, 끝내기의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많은 초보자들은 초반 포석과 중반 싸움에 집중하는 반면, 끝내기에 대한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대국에서는 끝내기 단계에서 승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특히 중급 이상의 기력에서는 양측 모두 전투력과 수읽기 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미세한 집 차이로 승부가 갈리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끝내기에서 한 수의 손익은 그 자체로 수집(目)의 차이를 만들며, 결과적으로 승패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끝내기를 잘한다는 것은 바둑을 이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무기를 가진 것과 같습니다. 끝내기의 정의와 구조적 특징끝내기란 바둑판 위에서 양측의 세력이 정리되고, 더 이상 큰 전투 없이 작은.. 2025. 6. 21.
선수와 후수: 초보자가 가장 헷갈리는 바둑 개념 바둑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가장 자주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선수’와 ‘후수’입니다. 두 단어 모두 일상어로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지만, 바둑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바둑에서 ‘선수’는 돌을 두었을 때 상대방이 반드시 응수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반대로 ‘후수’는 돌을 둔 이후 상대의 즉각적인 응수가 필요 없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 두 개념은 단순히 바둑판 위의 순서가 아니라, 전략의 주도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바둑에서 ‘선수냐 후수냐’는 전체 흐름과 형세 판단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므로, 초보자라면 반드시 정확히 이해하고 익혀야 할 개념입니다. 바둑에서 말하는 ‘선수’란 무엇인가?‘선수’란 내가 돌을 둔 이후, 상대가 그 수에 응답하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상황을 말합니다... 2025. 6. 20.
정석을 외우지 말라는 말의 진짜 의미 바둑을 처음 배우기 시작하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정석’입니다. 정석이란 바둑판의 귀, 즉 초반 포석 단계에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검증된 수순들을 말합니다. 바둑 교재나 인터넷 강의에서는 다양한 정석을 소개하며, 초보자들은 이를 열심히 외우려고 합니다. 그런데 바둑 고수들은 오히려 “정석을 외우지 말라”고 조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석은 외워야 할 것이 아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정석을 외운다는 말이 가지는 한계와, 왜 ‘외우지 말라’는 조언이 실전에서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정석은 수순이 아닌 상황의 결과물입니다정석은 단순한 ‘정답 수순’이 아닙니다. 정석은 수많은 실전 경험과 이론을 통해 만들어진 가장 효율적인 흐름이지만, 그 효율성은.. 2025. 6. 19.
바둑의 금기 수: 왜 '삼삼'은 초보의 함정일까? 바둑을 막 배우기 시작한 초보자들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수 중 하나가 바로 '삼삼 착수'입니다. 삼삼은 바둑판 네 귀에 있는 3·3 지점으로, 돌을 두었을 때 모양이 단단하고 집으로 연결되기 쉬운 자리입니다. 이로 인해 초보자들은 삼삼이 안정적인 자리라고 생각하고 초반부터 해당 위치에 착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전 바둑에서는 삼삼이 오히려 금기 수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고수일수록 삼삼을 초반에 사용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왜 삼삼이 초보자에게는 함정이 될 수 있는지, 어떤 전략적 맥락에서 삼삼 착수가 문제가 되는지를 설명합니다. 삼삼 착수의 특징과 초보자가 선호하는 이유삼삼 착수는 귀에 돌 하나만 두어도 살아 있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직관적입니다.. 2025. 6. 18.
국제대회 역전승 BEST 3: 명국으로 남은 바둑 대결들 바둑은 한 수 한 수의 흐름이 모여 최종 결과를 결정짓는 게임입니다. 특히 국제대회에서는 한 수의 선택이 전체 판세를 바꾸며 명국으로 기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국 내내 불리했던 기사가 끝내기에서 승리를 거두거나, 마지막 한 수로 전체 형세를 뒤집는 장면은 바둑 팬들에게 오래도록 회자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둑 역사상 국제 무대에서 펼쳐진 세 번의 대표적인 역전승을 선정하여 소개합니다. 이 대국들은 전략과 수읽기, 심리 모두에서 교과서적인 의미를 갖는 경기들입니다. 1. 이창호 vs 유창혁 – 제4회 삼성화재배 결승 제3국 (1999년)1999년 제4회 삼성화재배 결승 3번기 3국에서 이창호 9단과 유창혁 9단이 맞붙었습니다. 이 대국은 당시 두 기사 모두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고 있던 시기였고, 특히 .. 202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