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체스 오프닝 전략 총정리 | 초보가 알아야 할 기본 수 체스 오프닝 전략은 초보자가 가장 먼저 익혀야 할 핵심 단계입니다. 중앙을 장악하고 말을 효율적으로 전개하며, 킹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세 가지 원칙을 이해하면 중반전의 승률이 크게 높아집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가 꼭 알아야 할 기본 오프닝 수와 자주 하는 실수, 그리고 연습 루틴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체스 오프닝 전략의 핵심 목표: 중앙, 전개, 안전체스 오프닝의 가장 큰 목적은 초반 10수 안에 견고한 기반을 만드는 것입니다. 초보자는 아래 세 가지 원칙만 지켜도 중반부터 훨씬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합니다.1. 중앙 장악 — e4, d4, e5, d5 네 칸은 말의 활동 반경을 넓혀 주는 핵심 구역입니다. 중앙을 선점하면 나이트와 비숍이 동시에 먼 범위를 커버하고, 공격 루트가 다양해집니다.2. 빠.. 2025. 10. 19.
인간의 수읽기란 무엇인가 | 직관과 계산의 경계 바둑과 체스에서 ‘수읽기’는 단순한 계산이 아닙니다. 경험과 직관, 그리고 순간적인 판단이 얽힌 복합적인 사고 과정이죠. 인공지능이 아무리 빠르게 수를 계산하더라도, 인간의 수읽기에는 여전히 인간만의 깊이와 감정이 담겨 있습니다. 수읽기의 본질: 머리로 계산하고 마음으로 판단한다수읽기(Reading)는 상대의 다음 수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머릿속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실제 대국에서는 단순히 경우의 수를 셈하는 것이 아니라, ‘이 수가 전체 흐름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바둑에서는 단 한 점을 살릴지, 전체 세력을 유지할지를 판단해야 하고, 체스에서는 말 하나를 희생해 더 큰 구조적 이득을 얻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수의 결과’보다.. 2025. 10. 13.
체스 인공지능의 진화 | 알파제로가 바꾼 체스 세계 체스 인공지능은 단순한 계산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알파제로(AlphaZero)의 등장은 체스의 전략과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습니다. 인간이 오랜 세월 쌓아온 정석과 전술이, 인공지능의 학습과 실험 속에서 완전히 새롭게 재해석된 것입니다. 알파제로 이전, 계산 중심의 체스 AI1990년대 IBM의 딥블루(Deep Blue)가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꺾었을 때, 세상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하는 순간을 목격했습니다. 그러나 당시의 AI는 방대한 오프닝 데이터와 무한한 경우의 수 계산에 의존했을 뿐, 인간처럼 사고하지는 못했습니다.딥블루 이후의 체스 엔진 — Stockfish, Komodo 등 — 은 여전히 ‘브루트포스 계산(Brute Force)’에 기반해 최적 수를 찾는 방식이었습니다. 즉,.. 2025. 10. 12.
AI 바둑의 미래 | 인간과 인공지능의 수읽기 진화 AI 바둑은 이제 단순히 인간을 이긴 기술이 아닙니다. 인공지능은 바둑의 본질, 즉 ‘읽기’와 ‘판단’의 영역을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인간과 AI는 경쟁이 아닌 공존의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바둑은 다시 한번 진화의 길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AI는 어떻게 인간의 한계를 넘어섰나알파고 이후 등장한 카타고(KataGo), 엘프 오픈고(ELF OpenGo) 같은 오픈소스 인공지능은 수천만 번의 대국 데이터를 통해 인간이 상상하지 못한 수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계산 능력을 넘어, 확률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수를 예측하는 ‘정책망(Policy Network)’과 ‘가치망(Value Network)’을 통해 스스로 판단을 내립니다.인간은 직관을 통해 흐름을 읽지만, AI는 데이터를 통해 가능성을 읽습니다.. 2025. 10. 11.
바둑 인공지능의 원리 | AI는 어떻게 수를 계산할까 바둑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면 AI가 어떻게 수를 계산하고 판단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알파고부터 카타고까지, 인공지능 바둑의 작동 구조와 학습 방식, 그리고 인간과의 차이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바둑 인공지능의 등장과 발전2016년,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꺾으며 전 세계 바둑계는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전까지 “AI는 바둑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지만, 알파고의 등장은 그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놓았습니다. 이후 바둑 인공지능은 단순한 연구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방식을 바꾼 하나의 지적 실험이 되었습니다.현재는 오픈소스 AI 엔진인 카타고(KataGo), 엘프고(ELF Go), 릴라제로(Leela Zero) 등이 등장하며, 전문가뿐 아니.. 2025. 10. 10.
장기 vs 바둑 vs 체스 | 전략 보드게임 3대장 비교 장기 vs 바둑 vs 체스, 세 가지 전략 보드게임은 모두 두뇌 훈련에 탁월합니다. 장기, 바둑, 체스의 차이와 공통점, 현대적 가치를 비교했습니다. 세 가지 게임, 세 가지 길인류의 오랜 역사를 함께해 온 보드게임은 단순한 놀이를 넘어 사고력을 길러주는 도구였습니다. 그중에서도 장기, 바둑, 체스는 대표적인 전략 게임으로 꼽힙니다.장기: 한국 전통 두뇌 스포츠, 장군·멍군 문화가 있는 독특한 규칙바둑: 흑백 돌을 두어 영역을 차지하는 동양의 대표 전략 게임체스: 군사 전략을 형상화한 서양의 지적 스포츠세 게임은 모두 머리를 쓰는 경기라는 공통점을 갖지만, 접근 방식과 문화적 배경은 크게 다릅니다. 이제 하나씩 비교해 보겠습니다. 장기: 한국 전통의 균형 게임장기는 9×10 칸의 판에서 진행되며, ‘장(.. 2025. 9. 7.